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14

간식 배송 스타트업 스낵24, 35억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https://youtu.be/-T7v9ctItk8 스낵24 의 소개 영상 간식 배송 스타트업 스낵 24가 25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합니다. 기존부터 간식을 배송해? 라는 느낌을 주어 흥미로워서, 이름도 기억하고 있던 기업입니다. 회사 구성원에게 간식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죠. 일하다 보면 당이 떨어지게 되고, 구성원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간식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직원들은 더 빨리 일처리를 하고 집에 퇴근할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했지만, 저는 아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어서 '스낵24'를 사용하기 전보다 비용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이 들지는 않았습니다. 해당 내용을 텍스트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쇼케이스, 냉장고 구입 비용은 저.. 2019. 12. 22.
타다 금지법 아닌 수용법? 타다와 택시에 대한 내 생각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14&aid=0004339521 금지된 타다…당·정·청 향한 이재웅 절규 "지금이 2019년이 맞나" [파이낸셜뉴스] '타다 기획자' 이재웅 쏘카 대표가 청와대와 정부, 국회를 향해 절규에 가까운 호소를 쏟아내고 있다. 특히 이 대표는 지난 2012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타다금지법과 '180도' 다른 '렌터 news.naver.com 타다에 대하여 결국 금지에 대한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이번 사태를 보면서 개인적으로 생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 많이 들어가있으니 감안해서 봐주시고, 다른 의견 있으면 제안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금지법인가 수용법인가? 금.. 2019. 12. 14.
자율 주행차 기술의 등급은 어떻게 나눌까요? 1. 자율 주행차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은 요새 큰 이슈입니다. 자율 주행차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 많은 자동차 회사들은 이제 자율자동차와 전기자에 회사의 미래를 걸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자율 주행 차량이라고 해도 처음부터 끝까지 운전하는 차량이 있고, 테슬라처럼 '오토파일럿' 기능을 통하여 차선을 지키는 주행보조 기능 정도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자율 주행 차량의 기술을 분류하는 등급이 있습니다. 현재는 기술을 레벨 0에서 5까지 나누고 있습니다. 이 등급은 미국자동차공학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이하 SAE)에서 정한 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2. 자율 주행 차량 등급 2.1. '레벨 0' : 자율 주행 X , 인간 주행.. 2019. 12. 14.
음식 스타트업도 혁신을? 푸드의 혁신! 1. 음식에 관련된 스타트업들도 혁신을 할 수 있을까요?? 실리콘밸리에는 많은 기업들이 스타트업을 통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대부분 제가 기억하는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은 '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음식의 경우에는 '어떻게 혁신을 하지?', '음식을 판매하는 업체들이 혁신을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가졌습니다. 제가 자주 보는 T Times 에서 '음식' 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위와 같은 많은 사례들을 카드뉴스로 잘 정리해놓았습니다(광고X). http://www.ttimes.co.kr/search.html?kwd=%EC%9D%8C%EC%8B%9D ‘T Times’ 지식과 정보가 있는 모바일 뉴스 www.ttimes.co.kr 생.. 2019. 12. 13.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광고의 장악 2019년 11월 24일 19:30의 네이버 실검은 온통 광고 문구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전체 연령대만 살펴보면 '더잡블랙세븐데이즈', '퓨어썸 샤워기의 비밀', '그라펜향수재입고' 등의 키워드들이 실시간 검색어로 등극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에 이런 광고성 문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토스'에서 다른 기업들과 연계해서 만든 광고의 퀴즈를 맞추기 위하여 검색하는 경우도 많고, 업체들이 자체 이벤트들을 해서 검색어에 등장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업체 중의 하나를 살펴보니 어느 시점을 기점으로 순식간에 검색량을 어마어마하게 차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실이 2019년 9월 1일부터 19일까지 매일 오후 3시 네이버 실검을 분석한 결과, 1위를 .. 2019. 12. 13.
와디즈? 와디바바? 국내 크라우드 펀딩 1위의 신뢰도 추락 1. 와디즈 현황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한 번에 정리해놓은 유투브 영상도 있네요. 참고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zero-coke.tistory.com/53 크라우드펀딩의 사기와 뒤통수 그리고 와디즈의 방관 1. 크라우드 펀딩을 사람들이 왜 살까? 크라우드펀딩에서 리워드 펀딩은 대중이 돈을 직접 모아서 좋은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게 미리 돈을 주고, 해당 돈으로 제품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가치를 zero-coke.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국내 크라우드 펀딩 1위 와디즈(wadiz)에 올라오는 '리워드' 형태의 상품들의 문제가 있다고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도 와디즈에 대한 후기가 어떠한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와디즈의 업체 관리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매우.. 2019. 12. 13.
크라우드펀딩의 사기와 뒤통수 그리고 와디즈의 방관 1. 크라우드 펀딩을 사람들이 왜 살까? 크라우드펀딩에서 리워드 펀딩은 대중이 돈을 직접 모아서 좋은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게 미리 돈을 주고, 해당 돈으로 제품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가치를 돌려주는 형태입니다. 이런 형태에서 소비자들은 기존 제품과 달리 더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거나 새로운 제품, 공정무역, 타인을 돕는 등의 형태로의 다양한 가치를 추구합니다. 다른 제품을 구매하는 것과 다소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지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와디즈는 이런 크라우드펀딩 형태에서 국내 1위 업체입니다. 다양한 상품들이 입점해있지만, 현재는 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특히, 리워드 형태의 경우 일반적인 쇼핑몰로 바뀌어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와디즈는 투자형태가 기본이기 때.. 2019. 12. 13.
삼성전자, 중국에 있는 스마트폰 공장 전부 폐쇄 1. 삼성, 중국을 떠나다 삼성전자가 중국 내의 스마트폰 공장을 모두 폐쇄했다는 기사를 접하였습니다. underkg news를 보면 아래와 같은 뉴스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얼핏 들으면 모든 공장이 폐쇄된 것 같지만, 사실은 '스마트폰 공장' 입니다. 흔히들 일반 소비자들은 삼성전자가 '핸드폰, 가전 회사' 라고 많이 알고있지만, 실은 '반도체 회사' 입니다. '핸드폰은 취미' 라고 할 정도로 반도체의 비중이 삼성전자 내에서 강한데, 작년 매출 80% 이상이 반도체에서 나왔습니다. 제가 읽은 기사에서 말한 공장은 스마트폰 공장입니다. 중국 내에서 소비하는 반도체의 물량이 워낙 많기 때문에 반도체는 폐쇄하지 않고, 스마트폰 공장을 줄여오고 있었는데 이제 모든 공장을 폐쇄했다고 합니다. 2. 왜 탈중국? .. 2019. 12. 13.
수요공급 불균형 택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 현재 운송 서비스 산업 공유 차량 서비스의 문제와 택시 경쟁의 필요성 공유 차랑 경제 서비스에 대한 도입을 국가에서 결국 허락하지 않았고, 택시 가맹 사업에 초점을 둔 상태로 시장의 판도가 흘러가고 있습니다. 택시도 경쟁을 해야 된다는 의견에는 굉장히 동의하는 바입니다. 경쟁이 없는 시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서비스 퀄리티가 낮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유 차량 서비스의 대표 주자인 우버가 노동자들의 소득을 보장을 못해주게되면서 서비스 퀄리티가 낮아지고, 샌프란시스코에서 우버 기사들에게 더 많은 보장을 해야된다고 판단하면서, 공유차량 서비스라는 서비스의 환상은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공유차량 서비스에는 장점도 많지만, 단점도 많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 것입니다. 위와 같은 상황 속에서 여러 택시.. 2019. 12. 13.
웹툰 세계 1위?! 네이버는 세계 웹툰을 장악할 수 있을까? 웹툰 규모 1위 대한민국 전체 만화 시장의 규모는 일본이나 미국에 비해 작지만, 웹툰의 비중은 우리나라가 훨씬 크다고 합니다. 네이버, 다음과 같은 사이트에서 적극적으로 웹툰 서비스를 진행했고, 현재 이러한 노력으로 인하여 국내 웹툰 규모가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합니다. 또, 우리나라의 매우 높은 IT 보급율과 모바일 시장의 확대가 웹툰 시장의 크기를 더 확장시켰습니다. 네이버웹툰은 현재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 100개국에서 만화 부문 매출 1위를 달리고 있으며, 월간순방문자(MAU)는 6,000만명, 일일순방문자(DAU)는 1,550만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네이버 웹툰, 카카오 페이지, 레진코믹스와 같은 다양한 기업들이 웹툰을 연재하면서 서비스를 유지해나가고 있습니다. 웹툰의 수익화 기존에는 대형.. 2019. 12. 13.
내가 원하는 시간에 배달을? 공강, 쉬는 날엔 배민커넥트!? 배달의 민족에서 새로운 서비스 배민커넥트를 런칭했다고 하여 찾아보고 포스팅해보았습니다. 배달의 민족은 항상 재미있는 서비스를 많이 론칭하려고 시도하고 도전하려는 이미지가 강한데, 이번에는 배민커넥트를 선보였습니다. 배민커넥트는 원하는 시간에 신청하여 배달의 민족 배달을 직접 수행하는 것으로 틈틈히 시간 나는 대로 일을 하여 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온디맨드 경제의 활성화와 함께 노동수요가 함께 증가하면서 ‘긱 이코노미’(Gig Economy)가 뜨고 있는데, 배달의 민족도 이러한 트렌드에 탑승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국내 서비스에 유사한 서비스로는 쿠팡 플렉스가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크라우드소싱이라고 하는데, 크라우드소싱(Crowd + Outsourcing)은 기업 활동에 일반.. 2019. 12. 13.
카카오 '라이언 택시', 10월 출격! 새로운 택시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 국내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가 결국 오픈이 되지 않아서, 카카오나 타다같은 회사가 택시 면허를 구매하여 새로운 택시 서비스를 구동하려고 준비를 한다는 기사를 이전에 접한 적이 있습니다. 이제, '라이언 택시'(가칭)이 새롭게 서비스 된다고 합니다. 택시 산업과 공유 차량 서비스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경쟁이 되고 더 바람직해 보이는데, 국가에서는 택시 산업 자체에 더 초점을 두는 것 같습니다. 공유 차량 서비스를 맹목적으로 좋아할 수는 없는게, 실제로 우버도 근로자의 임금이 잘 보장이 되지 않아 서비스 퀄리티가 계속 떨어진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공유 차량 서비스에 대한 개방이 안된 것이 아쉬운 측면은 있지만, 택시 산업 내에서 경쟁을 시켜서 서비스 퀄리티 자체를 높이려는 생각은 바람직한 것 같습니다. 다.. 2019. 12. 12.